컴투스 그룹, 컴투버스 발표.. "시공간 제약이 없는 최초의 메타버스 세상이 올 것"

컴투스(대표 송재준, 이주환)의 메타버스 전문 기업 컴투버스(대표 이경일)가 25일 서울 콘래드 호텔에서 미디어데이(Media Day)를 개최하고 미래의 글로벌 메타버스 산업을 선도하기 위한 사업 및 개발 로드맵을 공개했다.

컴투스는 약 1년전 메타버스 사업에 대한 구상을 구체화하고 지난해 말 프로토타입 시연 영상을 공개한데 이어, 지난 4월에는 계열사 위지윅스튜디오 및 엔피와 함께 조인트 벤처인 컴투버스를 설립하고 본격적인 올인원 메타버스 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25일 진행된 컴투버스 미디어데이에서는 환영사를 전한 컴투스 송재준 대표이사를 비롯해,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이사와 홍승준 개발 본부장이 발표자로 나서 컴투버스가 그리는 메타버스의 미래와 현재 개발 및 투자 현황, 향후 계획 등을 자세히 설명했다.

실생활 옮겨온 오픈 월드… ‘글로벌 메타버스 시대 선도할 것'

행사 시작과 함께 송재준 컴투스 대표이사가 단상에 올랐다. 송재준 대표는 “인터넷으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오픈 월드의 가상 세계로 옮겨온 것이 바로 메타버스이며 이 같은 시도를 하는 것은 컴투버스가 세계 최초”라고 설명했다.

컴투버스에 대해 설명중인 송재준 컴투스 대표
컴투버스에 대해 설명중인 송재준 컴투스 대표

이어 송 대표는 "3차원 가상 공간에서 수많은 사람들을 동시 수용할 수 있는 기술적 역량,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밸류체인, 탈중앙화와 성과 분배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는 기술적 생태계의 3박자를 모두 갖춘 컴투스야말로 글로벌 메타버스 시대를 선도할 유일무이한 적임자"라고 덧붙였다.

컴투버스는 웹3 가치 기반의 오픈 메타버스 인프라스럭처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 이사는 '컴투버스'를 ‘메타 브라우징'이라고 지칭했다. 기존의 2D 형태로 제공되는 정보 및 콘텐츠, 서비스가 컴투버스에서 4차원의 시공간을 통해 재배열되어 차원이 다른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는 것.

이 대표는 컴투버스를 메타버스라는 인터넷 다음 시대의 모습을 현실로 가져오는 선구자로 만들어간다는 계획을 세웠다. 특히 일부 주체가 메타버스 사회를 이끌어 가는 형태를 넘어, 모든 참여자들이 함께 만들고 완성시키는 오픈 생태계로 구축하는데 방점을 두고 있다고 설명했다.

발표중인 컴투버스 이경일 대표
발표중인 컴투버스 이경일 대표

또 이경일 컴투버스 대표는 발표에서 “기존의 공급사가 모든 권한을 가지고 사업에 대한 수익 분배부터 독점 권한까지 가져가는 구조는 웹3 기반 사회에서의 생태계 발전을 저해하는 형태가 될 것”이라며, “컴투버스는 참여자들이 자유롭게 공간을 구축하고 콘텐츠와 서비스를 제공하는 열린 생태계 형태의 인프라스트럭처다”고 설명했다.

‘현실을 닮았지만 현실을 초월하는 공간'.. 개발자 생태계도 구축

홍승준 컴투버스 개발 본부장은 컴투버스에 ‘아일랜드'라고 하는 공간 개념이 적용되며, 총 9개의 ‘아일랜드'가 모여 월드가 완성된다고 설명했다. ‘아일랜드'에는 서비스 및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건물과 메타버스 오피스, 도로, 교통, 자연 환경 등의 입지가 구축되고 커뮤니티와 일반 유저들의 공간으로 확장될 예정이다.

아일랜드 공간 개념이 적용된 컴투버스
아일랜드 공간 개념이 적용된 컴투버스

홍승준 컴투버스 개발본부장은 “컴투버스의 공간은 셀, 블록, 아일랜드의 단위로 구성된다. 100개의 셀이 모여 하나의 블록이 되고 다시 900개의 블록이 모여 하나의 아일랜드를 이루게 된다."라고 설명했다.

홍 본부장에 따르면 아일랜드 하나의 크기는 현실 속 축구장 약 3200개의 규모이며, 또 대규모 사용자의 접속을 위해 스페이스 스케일링이라고 하는 새로운 서버 프레임웍 기술을 개발했다고 설명했다. 이 스케일링 기술은 현재 특허 출원을 준비 중이라고 한다.

아일랜드에 대해 설명중인 홍승준 본부장
아일랜드에 대해 설명중인 홍승준 본부장

특이한 점은 컴투버스가 모든 이용자들에게 개방된 퍼블릭 영역과 분양 받은 대지와 건물 공간인 프라이빗 영역으로 나눠 설계되고 있다는 점이다. 컴투스는 빠르면 오는 2023년 2월부터 분양이 시작되며, 프라이빗 영역에서 개발자들이 콘텐츠를 만들고 돈을 버는 생태계가 구축되도록 지원한다는 구상을 내놨다.

홍 본부장은 “컴투버스는 이용자들에 의해 만들어지고 변화되는 공간이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하도록 자유로운 콘텐츠 창작툴인 UGC 스튜디오를 제공하고, 개발자 생태계 확장을 위해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KT-SK네트웍스 등 대기업과 하나금융그룹 등 금융권 파트너로 합류

컴투버스는 현재 여러 산업 분야의 유력 기업들과 협업을 추진하며 강력한 파트너십 생태계 구축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이번 미디어데이에서는 기존 공개된 SK네트웍스, 하나 금융, 교원그룹, 교보문고, 한미헬스케어, 브랜드엑스코퍼레이션, 마이뮤직테이스트, 영실업, 닥터나우, 푸트테크 외에도 신규 파트너사인 KT의 합류를 최초로 공개해 눈길을 끌었다. ICT 선도 기업인 KT의 기존 사업을 메타버스와 연계한 다양한 협력 비즈니스를 추진해간다는 전략이다.

컴투버스에 참여를 확정한 파트너들
컴투버스에 참여를 확정한 파트너들

또 컴투버스는 생태계 참여 기업들과 함께 내년 3분기까지 B2C 서비스를 개발하고 일반 사용자들을 위한 상용화 서비스를 2024년 1분기에 실시할 예정이다.

컴투버스 이경일 대표는 “메타버스라는 영역은 아직까지 화이트 스페이스라고 할 수 있다”며, “과거 대한민국이 선진국의 사업을 벤치마킹하고 발전했다면, 이제 우리는 많은 참여자들과 함께 메타버스라는 새로운 사업 영역을 선도적으로 이끌어 나갈 것이다”고 전했다

한편, 미디어데이 마지막에는 국내 도시건설 분야의 최고 전문가로 알려진 홍익대학교 건축도시대학 유현준 교수가 영상을 통해 깜짝 등장했다.

유현준 교수는 컴투버스의 CCO(Chief Creative Officer)로 합류할 예정으로, 영상 메시지를 통해 “내가 가진 공간과 도시에 대한 생각과 경험을 컴투버스와 함께 나눌 수 있게 돼 기쁘다.”며, “컴투버스와 함께 현실의 제약이 없는 이상적인 도시를 만들어보고 싶다.”고 소감을 전했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