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게임을 산업 규모 면으로 보면 예산 1조도 모자란다'
e스포츠와 게임 관계자들 사이에서 문화부의 예산이 재 배분되어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왔다.
9일 신촌 토즈에서 열린 e스포츠 기자단과 문화부 게임산업팀 과의 간담회에서, 이영열 문화부 게임산업 팀장은 "현재 게임 관련 예산은 150억 원이다. 하지만 게임의 연간 수출액과 해외 브랜드 효과 등 산업 규모 측면으로 판단하면 예산 1조원도 모자란다"고 진단했다.
실제로 현재 문광부가 밝힌 온라인 게임 수출액은 2000년에 1억 달러를 돌파하고, 2006년에는 수출만 7억 달러에 이르렀다. 2006년 영화진흥위원회에서 밝힌 영화의 해외 수출액이 2450만 달러인 것과 비교하면 게임의 수출액이 28배가 넘는다.
이 팀장은 "객관적으로 게임을 산업적으로 분석해보면 예산이 1조원 수준이 되어도 좋을 정도"라며 "70년대부터 관행처럼 진행됐던 정부의 예산-인력-자원배분이 이제는 '제로 베이스'에서 시작해 각 분야의 '산업화 역량'에 따라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문화부 신종필 사무관도 "단순한 인식의 문제를 떠나 정부의 전면적인 자원 재 배분이 절실하다"고 의견을 피력했다.
게임이 이렇게 턱없이 적은 예산과 제도의 도움을 받지 못하는 이유로는 '대국민의 인식 저평가'가 큰 몫을 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이영열 팀장은 "게임의 저평가가 '바다이야기' 때문이라고 얘기하지만 그게 아니다, 게임은 원래 '공공의 적'으로 인식될 만큼 저 평가를 받아왔다"고 토로했다. 이팀장은 "중국만 해도 '게임은 젊은이에게 IT와 R&D에 대한 희망을 주는 긍정적인 것"이라는 인식이 강하지만 한국에선 부정적인 인식이 훨씬 크다"고 덧붙였다.
게임의 가능성과 비전을 살리기 위해 '게임을 제대로 알려야 한다' 는 의견도 나왔다.
게임산업진흥원의 김민규 본부장은 "사람들에게 현재 게임의 가능성과 실제의 현황을 소개해 주기만 해도 긍정적으로 바뀐다"며 "게임을 '있는 그대로' 만이라도 제대로 알리게 되면 게임에 대한 평가가 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