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게임사 ‘머니 파워’, 전 세계 게임시장 흐름 바꾸나...

최근 전세계 명품 시장의 주요 세일즈를 리딩하고 있는 것은 중국의 소비자들이다. 중국의 시장 경제가 활성화되고 눈높이가 올라가면서 자연스럽게 소비 심리가 증가하고 있으며,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경제로 인해 소비 씀씀이도 커지고 있다.

이러한 중국의 머니 파워는 게임 시장에서도 두각을 나타나고 있다. 1억 명이 넘는 소비자들을 확보하고 있는 중국의 게임시장은 전 세계 최고의 매출원이며, 이곳에서 성공을 거듭하고 있는 게임사들은 빠르게 성공가도를 달리고 있다. 당연히 벌어들이는 매출 역시 어마어마하기에 게임 시장의 흐름과 판도를 뒤바꿀 수 있는 정도의 머니파워를 보여주고 있다.

특히 자국 서비스를 위해 어마어마한 금액을 쏟아 붓는가 하면 아예 게임을 개발한 회사를 사들이고, 대규모 펀드를 조성해 게임이 발매되기도 전에 판권확보에 나서고 있다.

그 중 두각을 나타내고 있는 곳은 '텐센트'다. 텐센트는 QQ메신저를 기반으로 게임 사업에 뛰어들었고, 한국의 던전앤파이터, 크로스파이어 등의 온라인게임으로 500만명이 넘는 사용자층을 확보하고 있다.

이후 텐센트는 홍콩증시에 상장해 시가총액 52조원 규모를 달성, 세계 3위권 인터넷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성공하며, 더욱 발 빠른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에 독립지사를 설립해 한국 게임시장의 움직임과 트렌드 변화를 직시하기 위해 노력 중이며, 엔씨소프트의 차세대 MMORPG 블레이드앤소울과 엑스엘게임즈의 아키에이지 등의 판권을 확보하며 시장의 큰 손임을 다시 한 번 확인시켰다.

이외에도 더나인과 긴밀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파이어폴의 중국 판권 확보를 위해 약 3천억원의 금액을 배팅했다는 소문까지 확대되고 있다.

또한 대규모 펀드를 조성하고 신작 게임들에 대한 과감한 투자도 진행해 한국 온라인게임의 판권확보에도 주력하고 있는 상황. 현재 텐센트는 레드덕의 신작 메트로 컨플릭트의 중국 판권 인수도 목전에 두고 있다. 또한 캡스톤투자조합과 손잡고 한국 게임 투자를 위해 500억원 규모의 캡스톤벤처펀드를 구성해 레드덕, 탑픽, 올엠, 버티고우게임즈 등 한국 개발사에 10억원 이상의 지분투자를 단행해 왔다.


중국 내 2위 게임사인 샨다게임즈는 라이벌 텐센트의 캡스톤벤처펀드에 대항하기 위해 원익창투와 손잡고 역시 500억원 규모의 투자조합을 구성, 투자대상을 물색하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샨다게임즈가 중소게임 회사의 지원을 위해 의욕적으로 조성한 투자펀드 ‘18기금’을 통해 확보한 자국게임들의 성과가 극히 저조하다고 판단, 개발력과 투자적합도 등에서 보다 안정적인 한국 게임사들에게 적극적인 투자를 진행하는 것으로 입장을 선회했다"고 설명했다.

샨다게임즈는 과거 미르의전설 시리즈로 한국 온라인게임의 힘을 알고 있는 대표적 회사로, 지난해 한국 개발사 아이덴티티게임즈를 1천억 원이 넘는 금액으로 인수해 화제를 모으기도 했다

이외에도 중국의 IT기업 쿤룬도 한국 게임사 투자를 위해 대성창투, 한국모태펀드와 함께 총 200억원 규모의 펀드를 구성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업계의 한 전문가는 “중국의 대기업들이 개발사와 온라인게임 판권확보에 주력하면서 대규모 금액들이 게임시장으로 흘러들고 있다. 특히 텐센트와 샨다 등이 새로운 도약을 목표로 머니 파워를 보여주고 있어 국내의 게임사들의 지분마저 해외로 넘어가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이야기 했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