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폰 고사양 게임시대, 클라우드 기술이 나오면 해결될까
지난 19일(현지 시각), 구글이 미국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GDC2019(개발자 컨퍼런스)에서 게임 스트리밍 서비스인 '스태디아(Stadia)'를 공개했다.
'스태디아'는 구글의 데이터 센터 네트워크를 활용한 스트리밍 기반 게임 서비스로, 발표 당시에 구글은 "기존 PC 및 콘솔 기기의 한계를 벗어나 게이머들이 언제 어디서든 그리고 어떤 기기로든 뛰어난 게임을 경험하는 것을 돕는 방식"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이같은 스트리밍 기반의 게임 서비스는 다른 말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라고 할 수 있는데, 더 쉽게 풀이해보면 '저사양 기기에서도 클라우드를 통해 고퀄리티 콘텐츠를 즐길 수 있는 서비스' 정도로 정의할 수 있다.
이같은 기술이 보급되면 게이머들은 더이상 게임을 위해 고사양 기기를 구입하지 않아도 된다. 예를들어 '배틀그라운드'를 즐기려면 기존에 최소한 엔비디아 지포스1060 이상의 그래픽카드를 껴야했지만, 클라우드 게임으로 전환하면 동영상 스트리밍만 원활히 될 정도의 PC 성능이면 족하게 된다.
300만 원 이상의 비용을 들여 고성능 PC를 마련해야 했던 VR 게임들도 이론상 코어2듀오 PC로도 즐길 수 있게 되는 셈이다.
아이러니한 것은 이같은 클라우드 게임 방식이 당장 국내의 모바일 게임 환경에 부합되어 크게 확장될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현재 국내의 모바일 게임들은 고퀄리티, 다중 접속, 대규모, 대용량 등 고성능 스마트폰이 필수적으로 대응되도록 진화해오고 있다. 규모의 경제로 넘어가 타 게임이 넘볼 수 없을 수준의 초 고 퀄리티 게임 경쟁 체제로 넘어가고 있는 것.
이같은 고성능 스마트폰 중심의 개발 방식은 개발사가 시장을 선도하기 위해 채택한 방식이지만, 아쉽게도 저사양 스마트폰들을 가진 게이머들을 저버리는 위험성이 있는 방식이기도 하다.
하지만 이같은 고퀄리티 게임에 클라우드 기술이 도입된다면 상황은 달라진다. 일례로 오는 4월18일에 출시가 예정되어 있는 넥슨의 '트라하'는 모바일 환경에 타협하지 않고 최고 품질의 MMORPG(다중접속롤플레잉온라인게임)를 개발하겠다는 포부로 개발된 게임으로, 기존의 PC MMORPG를 위협하는 그래픽 퀄리티를 가진 것으로 유명하다.
언리얼엔진4 기반으로 제작된 최상급 그래픽을 중심으로 '트라하'는 사전 예약자 수가 1일차 50만 명, 2일차 100만 명, 10일차 200만 명을 달성한 데 이어 약 한 달여 만에 300만 명을 넘은 것으로 집계되었으나 고성능 스마트폰이 아닌 경우에는 게임을 원활하게 즐기기 어렵다는 것이 단점으로 지적되어 왔다.
'트라하' 외에 올해 출시가 확정된 엔씨소프트의 '리니지2M' 또한 PC MMORPG 못지않은 퀄리티를 가진 게임으로 기대받고 있으나 마찬가지로 고사양 폰을 요구하는 상황이며, 넷마블의 'A3'도 대규모 전장 시스템 등을 통해 원활한 플레이를 위해서라면 고사양 스마트폰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된다. 네시삼십삼분에서 준비중인 '블레이드2 MMORPG' 등도 고사양이 예상돼 클라우드가 적용되면 유리한 게임으로 손꼽힌다.
하지만 이같은 고퀄리티 게임들이 클라우드 서비스와 접목된다면 '갤럭시노트4' 정도의 성능을 가진 스마트폰에서도 원활하게 게임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업계에서는 클라우드 서비스에 대해 보다 예의주시하고 있는 상황이다.
전문가들 또한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 방식이 보편화될 경우 대형 클라이언트 다운로드가 필요없고,해킹 부담이 적으며, 고성능 폰이 필요하지 않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서비스가 전개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지만 변수는 과금 모델이 될 것이라고 입을 모으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클라우드 게임 서비스는 5G 서비스와 함께 이통사에서 적극적으로 유치하고 있으며 구글 '스태디아' 등이 시작되면 보다 빠르게 보편화될 수도 있다."고 전망하면서도 "다만 네트워크의 원활함이 필수이며 새로운 온라인 과금 모델을 불러올 수 있기 때문에 요금이 비쌀 경우에는 과금 저항이 심해 보급이 어려워질 것."이라고 예측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