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팀, 유통 수수료 인하...모바일로도 번질까?

세계 최대의 PC게임 유통 플랫폼 중 하나인 밸브의 '스팀(Steam)'이 수수료 인하 계획을 밝혔다.

지난 1일 스팀웍스(Steamworks) 개발 지원 공식 그룹에 공지된 내용에 따르면 앞으로 스팀의 유통 수수료는 최대 20%까지 인하된다. 스팀은 현재 30%의 유통 수수료를 받고 있으나, 게임별 매출에 따른 구분을 둬 수수료를 낮추는 식이다.

스팀 로
고
스팀 로 고

10월 1일을 기준으로(이전의 수익은 포함되지 않음) 게임의 수익이 1,000만 달러(한화 약 110억 원)를 넘어서면 해당 게임이나 앱의 수수료는 25%로, 5,000만 달러를 초과하는 수익을 올리면 20%으로 조정된다. 수익에는 게임 패키지, DLC, 게임 내 판매 및 커뮤니티 마켓 플레이스 게임 요금이 포함된다.

스팀의 이 같은 조치가 모바일게임 플랫폼 수수료 인하 목소리로 이어질 수 있을지 많은 관심이 집중된다.

대표적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유통 플랫폼 구글 플레이와 애플 앱스토어 수수료 30%가 높다는 의견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마켓 등장 초창기와 달리 대형 퍼블리셔들이 게임을 선보이는 만큼 개발사의 몫은 더 줄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아울러 최근에는 글로벌 시장에서 최고 인기 게임 반열에 오른 멀티플랫폼 게임인 '포트나이트'가 탈 구글 플레이를 선언해 새로운 움직임을 보여주고 있다. 에픽게임즈의 팀 스위니 대표는 개발자가 판매액의 70%로 개발, 운영, 지원을 부담하는 것은 부당한 조치라 밝힌 바 있다.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애플 앱스토어 구글 플레이

실제로 에픽게임즈는 오픈된 생태계와 게이머와의 직접 소통을 앞세워 홈페이지를 통해 앱을 유통하고 있다. 당장 에픽게임즈를 따르는 대형 회사는 등장하지 않았지만, 새로운 길이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는 셈이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스팀의 이번 조치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나오지 않았지만, '폴아웃76'이나 '콜오브듀티: 블랙옵스4'와 같은 대형 게임들이 스팀 출시를 진행하지 않은 것도 하나의 이유가 되지 않겠냐"고 반문했다.

이어 "모바일 플랫폼의 경우 결제수단이나 마케팅 효과 등으로 당장 탈 플랫폼을 선언할 회사는 많지 않아 보이나, 누적 수익에 따른 합리적인 수수료 인하책을 보상한 스팀을 보고 모바일 플랫폼도 배워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