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헌 의원, "게임사 프로모션 계정 표시해, 최소한의 알 권리 보장하자"

최근 다양한 게임에서 게임사의 프로모션 계정 문제가 불거지는 가운데, 이상헌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게임사들의 선제 조치를 공개적으로 제안했다. 프로모션 계정은 게임 내 캐릭터 아이디 등에 명확하게 표시하자는 게 주요 방안이다.

프로모션 계정이란 일반적으로 게임사가 광고를 목적으로 인터넷 방송인(BJ, 유튜버, 크리에이터 등)들에게 후원하는 것을 뜻한다. 예컨대 게임사가 유명 BJ들이 방송에서 자사의 게임을 플레이하도록 계약을 통해 광고비를 지급한다. 프로모션 계정은 게임사가 신작을 알리거나 꾸준한 인기 유지를 위한 마케팅 수단으로 쓰인다. 곧 출시 예정인 모바일 MMORPG(대규모 다중 접속 역할 수행 게임)는 프로모션 계정을 아예 게임 내 시스템으로 도입했다.

초기 프로모션 계정은 몰래 하는 '뒷광고' 형식으로 진행됐다. 유튜브 등에서 '내돈내산' 콘텐츠가 '뒷광고'였음이 밝혀져 논란이 커졌고, 일부 유튜버들은 '뒷광고' 사태를 수습하며 인터넷 방송을 떠나기도 했다. 이후 '뒷광고'는 광고임을 알리는 '숙제방송' 이름으로 바뀌었다. 숙제방송은 인터넷 방송 시청자들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BJ의 경제활동 수단으로 인정받는 추세였다.

보통 프로모션 계정 유형은 ▲특수 능력, 장비가 있는 슈퍼계정 ▲결제한 돈을 되돌려 주는 페이백 ▲일정 방송 횟수를 채우면 광고비를 지급하는 숙제방송 식으로 나뉜다. 앞의 슈퍼계정과 페이백은 게임 내 큰 논란이 일어날 수 있어 많이 쓰이지는 않는다. 숙제방송 방식이 주된 방식으로 자리 잡았다.

문제는 확률형 아이템 비즈니스 모델인 게임의 숙제방송에서 나온다. 특히 MMORPG 장르 경우 게임 내에서 다수의 이용자가 경쟁하게 된다. 이때 게임사의 광고비를 받은 이용자와 일반 이용자가 경쟁하는 게 불합리하다는 지적이다. 특히 엄청난 과금을 유도하는 일부 게임의 경우 격차는 더 크다. 게임사로부터 후원받은 계정을 이기기 위해 일반 이용자가 더 돈을 쓰게 된다.

이상헌 의원실이 게이머 여론을 조사한 결과, ▲프로모션 계정인지 모른 채 이길 수 없을 경쟁을 계속하게 되는 것이 문제 ▲게임 특성상 프로모션 계정과 경쟁하게 되는 것은 일반 이용자를 대상으로 게임사가 의도적으로 과금을 유도하는 것이라 볼 수 있음 ▲적어도 게임만큼은 현실과 다르게 공정하게 플레이하고 싶다 ▲프로모션 계정을 금지해 달라 등의 의견이 나왔다.

이에 이상헌 의원실은 문제 해결을 위한 첫 번째 단계로 법리검토와 이용자 여론 파악을 통해 게임사들에게 '게임 내 프로모션 계정 표시'를 제안했다. 일반 이용자들에게 최소한의 알 권리를 보장하자는 취지다.

'게임 내 프로모션 계정 표시'은 플레이 중인 캐릭터 계정에 후원 사실을 명확하게 표시하는 것이다. 적어도 플레이 상황에서 상대방이 프로모션 계정임을 알 수 있도록 한다. 게임 내 경쟁에서 졌어도 상대방이 프로모션 계정을 안다면 박탈감이 덜할 수 있다.

이 의원은 표시의 범위는 회사와의 계약을 기준으로 하자고 제안했다. 예로 BJ가 A게임사의 B게임 광고를 목적으로 후원받았을 경우, A게임사의 C게임 계정에도 표시하는 식이다. 최근 엔씨소프트가 사과한 사례처럼 '리니지W'에 광고를 맡겼음에도 '리니지2M'에서 기만하는 플레이가 나올 수 있어서다.

아울러 이상헌 의원은 인공지능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게임 내 이용자 캐릭터를 가장한 인공지능 캐릭터에도 표시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용자는 다른 이용자와의 경쟁을 위해 시간과 돈을 들이는데, 상대방이 알고 보니 인공지능 캐릭터였다면 헛된 돈을 쓰는 게 되어서다.

이상헌 의원은 "이용자들의 불만이 해소되지 않는 경우 확률형 아이템 법적규제 사례처럼 프로모션 계정 규제 논의를 시작하게 될 수밖에 없다. 게임사들의 선제적인 조치를 촉구한다."라고 말했다.

이상헌 의원
이상헌 의원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