극단으로 치닫는 유니티 사태 "개발사들은 보이콧, 살해 협박까지"

최근 새로운 가격 인상 정책을 내세운 유니티가 각종 이슈에 휘말리고 있다.

지난 12일 유니티는 자사의 블로그를 통해 2024년부터 유니티 엔진을 사용하는 개발사에게 적용될 과금 체계를 공개했다.

이전까지 유니티는 자본금 10만 달러 미만인 개인과 소규모 개발사를 대상으로 한 '유니티 플러스'와 '유니티 퍼스널'. 일반 기업용 유료 제품인 '유니티 프로'와 '유니티 엔터프라이즈' 등으로 나누어 엔진을 제공하고 있었다.

하지만 이번에 변경된 유니티 엔진의 과금 체계는 일정 다운로드 수를 초과하면 추가 요금이 붙는 '유니티 런타임 요금'이 새롭게 추가됐다. 먼저 소규모 개발사들이 주로 사용하는 '유니티 플러스/ 퍼스날'의 경우 유니티로 게임을 개발해 20만 달러(한화 약 2억 6천만 원) 이상의 수익을 거두면 다운로드 1회당 0.2 달러(한화 약 270원)의 요금이 책정된다.

유니티
유니티

일반 기업용인 '유니티 프로 / 엔터프라이즈' 역시 연매출 100만 달러(한화 약 13억 원), 다운로드 100만 회를 초과하면 추가 다운로드 한 건당 최대 0.15 달러(한화 약 200원), 0.125 달러(한화 약 170원)가 각각 부과된다.

유니티 측은 새로운 '유니티 런타임' 요금은 일정 기준을 초과한 이후 발생하는 설치에 대해 건 단위로 요금이 청구되며, 표준 요금은 미국, 프랑스, 독일, 일본 등 북미, 유럽, 아시아 지역에 적용된다고 설명했다. 이 기준은 국내 시장도 포함이다.

이 정책이 공개된 이후 후폭풍은 엄청났다. 일선 개발자들은 매출 이후 다운로드 당 가격을 책정하여 무료 게임이 갑자기 흥행할 경우 수억 단위의 '요금 폭탄'을 맞을 수도 있다는 우려를 표하고 있다. 특히, 이용자들이 설치/삭제가 빈번한 소규모 인디 캐주얼 게임들이 직격탄을 맞을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오는 상황이다.

유니티의 신규 가격 정책
유니티의 신규 가격 정책

여기에 세계 최대 게임 시장인 중국은 표준 요금보다 낮은 가격정책이 유지되어 형평성 논란도 불거지기도 했고, 다운로드에 대한 과금은 유니티의 서비스 약관을 위반한다는 주장도 제기되는 중이다.

이러한 급작스러운 가격 인상 정책에 전세계 수많은 개발사들은 일제히 반대 성명을 냈다. '어몽머스'의 개발사 ‘이너슬로스’는 SNS를 통해 유니티의 이번 가격정책을 철회할 것으로 요구하며 "이 유니티의 새 요금은 개발사들에게 큰 피해를 주며, 이용자들이 원하는 콘텐츠와 기능에 큰 타격을 입힐 것"이라고 비난했다.

아울러 ‘컬트 오브 더 램’의 개발사 ‘매시브 몬스터’와 ‘슽레이더 스파이어’의 개발사 ‘메가 크릿’은 유니티의 새 과금 정책을 강도 높게 비판하며, 더 이상 유니티 엔진으로 게임을 개발하지 않겠다는 보이콧 선언을 하기도 했다.

메가 크릿 성명서
메가 크릿 성명서

여기에 미국에서는 새로운 과금 정책에 불만을 품은 이들이 유니티를 상대로 살해 협박을 하여 사무실이 폐쇄되는 사태까지 발생했다.

미국 유명 외신 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14일 유니티의 존 리치티엘로 CEO는 회사 직원들과 대면 회의를 진행할 예정이었으나, 살해 협박을 받아 안전을 위해 회의를 취소하고, 오스틴과 캘리포니아의 사무실 두 곳을 폐쇄했다고 전했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