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지를 품다, 모바일 버전은 다음 테스트에서 공개할 것
PC와 스마트폰, 타블렛 PC에서 동일한 게임을 실시간을 즐길 수 있다면? 엔도어즈에서 개발 중인 ‘삼국지를 품다’는 이러한 기대를 한 몸에 받고 있는 게임이다.
게이머들이 ‘삼국지를 품다’의 이러한 멀티 플랫폼 성향에 집중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다. 그동안 스마트폰을 통해 PC에서 즐기던 게임을 관리할 수 있는 게임이 없던 것은 아니지만, 이들 게임은 어디까지나 PC에서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의 극히 일부를 스마트폰으로 옮겨온 것에 불과해 아쉬움을 남겼기 때문이다.
NDC2012의 현장에서 직접 만난 엔도어즈의 김태곤 상무는 게이머들의 이러한 기대를 알고 있는 듯 했다. 그는 NDC2012의 세션에서도 밝혔듯 ‘하이브리드 게임’은 어느 한 플랫폼에 치우치지 않고 모든 플랫폼에서 동일한 경험을 제공해야 한다고 말한 것처럼 모든 플랫폼에서 충분한 재미를 느낄 수 있도록 ‘삼국지를 품다’를 개발 중이라고 이야기했다.
또한 이번 인터뷰에서는 공개 세션을 통해 언급된 ‘하이브리드 게임’ 개발에서 중점을 둬야 할 부분과 실제 작업 중 겪는 어려운 점 이외에도 김태곤 상무의 계획과 ‘삼국지를 품다’의 방향성에 대해서 이야기를 들을 수 있었다.
아래는 현장에서 진행된 김태곤 상무와의 인터뷰 전문이다.
질: 스마트폰의 사양에 맞추기 위해 게임의 퀄리티가 하향평준화 되는 것이 아니냐하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점은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답 - 웹게임의 가장 큰 장점은 접근성인 반면에 게임의 완성도는 단점으로 지적된다. 온라인게임 이용자들에게 있어 웹게임의 퀄리티는 다소
부족할 수도 있으며, 게임이 광범위하게 확산되는 데 걸림돌이 되기도 한다. 삼국지를 품다는 PC게임 이상의 완성도를 지닌 웹기반 게임을
개발한다는 목표 하에 개발 중이다. 이러한 점을 통해 웹게임에 대한 부정적인 요소를 깰 수 있다고 본다.
질: PC와 스마트폰으로 언제 어디서나 게임을 즐긴다는 발상은 게임 과몰입에 대한 우려도 낳을 수 있을 거 같다.
답: 게임 과몰입 이용자의 성향은 게임에 빠져 나오지 못 한다는 점에 있다. 하이브리드 게임은 내가 게임을 하지 않아도 게임에 대한 정보가
전달하기에 게임을 항상 즐기고 있을 이유를 없애주는 긍정적인 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 이런 방향으로 힘을 실어보려고 한다.
질: 온라인 버전은 공개가 됐지만 스마트폰 버전은 아직 공개가 안 됐다. 스마트폰 버전 중 안드로이드 버전은 어떻게 준비되고 있는가?
답: 한창 안드로이드 버전에 대한 투자가 집중되고 있다. 안드로이드 계열 휴대전화의 성능이 발전하며 개발자들도 안드로이드 버전 개발에 대해
우호적으로 변해가고 있다. 다음 테스트에서는 스마트폰 버전을 테스트하는 기회가 주어질 것이다.
질: 개발 기간이 예상보다 길어지고 있다. 그 이유는 무엇인가?
답: 과거에 게임을 개발할 때는 게임이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게임을 출시하고 서비스 중에 게임을 다듬어 나갈 수 있었지만, 이제는 그럴 수
없다. 특히 모바일 버전의 경우는 완전히 완성되지 않은 상황에서 게임을 출시하면 테스트로 어렵고 버그를 잡는 작업도 까다롭다. 게임에 필요한
모든 기능을 탑재한 상황에서 게임을 출시해야 한다고 본다. 약 1년 간 PK기능 등 중후반 콘텐츠에 대해 PC, 모바일 버전을 테스트하고
멀티 플랫폼 연동 부분도 신경을 쓰고 있다.
질: 멀티 플랫폼 구현을 위해 외부 엔진이 아닌 자체 개발 엔진을 이용할 생각은 있는가?
답: 현재 이용 중인 엔진인 유니티 엔진에 대한 만족도가 높다. 현재는 유니티 엔진 개발사를 믿고 있으며, 엔진 개발사도 삼국지를 품다를
개발하고 있는 우리를 믿고 있는 상황이기에 엔진을 교체할 필요는 못 느낀다.
질: 세션에서 강연 중에 멀티 플랫폼으로 게임을 개발하다보니 고민이 많다고 했다. 다양한 고민 중에 가장 큰 고민은 무엇인가?
답: 유료화 모델에 관해 큰 고민을 하고 있다. 구글과 애플은 나름의 정책이 있고 넥슨 역시 그렇다. 이러한 정책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부분이 있기에 이러한 점을 조율하는 게 관건이다.
질: 해외 진출은 어떻게 고려하고 있으며, 해외 진출 시에도 멀티플랫폼으로 서비스가 되는가?
답: 기존 체계였다면 어려웠겟지만, 스마트폰은 통일성을 갖고 있기에 어느 정도는 국가에 관계 없이도 똑같은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질: 삼국지를 품다의 경우는 개발 기간이 제법 긴 편이다. 이런 시도 끝에 게임이 출시된 이후에는 게임 개발 기간이 줄어들 것으로
예상하는가?
답: 그렇다고 본다. 개발 기간이 길어지고 있는 거은 개념의 정립과 엔진 활용 등 다양한 시행 착오를 거치고 있기 때문이다. 우리는 삼국지를
품다를 하나의 게임 엔진으로 생각하고 있다. 삼국지를 품다 이후에 개발되는 게임들은 게임 엔진이 완성된 상황에서 개발되는 것이기 때문에 더욱
다양한 콘텐츠를 품은 게임이 될 것이다.
질: 삼국지를 품다 외에 기획하고 있는 게임은 있는가?
답: 내부적인 논의는 진행 중이지만 어디까지나 논의 중인 단계로 구체적인 모습이 드러난 신작 게임은 아직 없다.
질: 앞으로도 하이브리드 게임을 지속적으로 개발할 것인가?
답: 그러는 것이 맞다고 보지만 그러한 결정은 삼국지를 품다에 대한 게이머들의 반응을 확인한 이후에 결정해야 한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