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워록' 저보다 나이든 분들도 많이 하던데요?'

요사이처럼 FPS 게임들이 많이 등장하는 시기는 없는 것 같다.

어느새 국내 온라인 게임 시장에 FPS 게임들이 상위권 순위를 앞다퉈 차지하기 시작하면서 FPS 게임이 범람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이런 많은 FPS 게임 사이에서도 유독 인상깊은 게임이 있다. 특별한 탑승 장비와 자체 제작한 물리엔진을 통해 사실적인 전장을 표현한 '워록'이 그것. 게임동아에서는 이 게임의 개발을 담당하고 있는 조한빈 이사를 만나 '워록'에 대한 얘기를 나눠봤다.


"'퀘이크'나 '언리얼 토너먼트' 등의 게임에서 느낄 수 있는 빠른 속도감을 전달하고 싶었습니다"

조이사는 필자가 '워록'의 게임성에 대해서 묻자 다음과 같이 답했다. 자신이 예전부터 즐겨했고 좋아했던 게임에서 받은 느낌을 국내 온라인 게이머들에게 전달하고 싶었다는 것. 그러다 보니 자연스럽게 상당히 빠른 속도감의 '워록'에 이르렀다는 것이다. 이 부분 외에도 탑승 장비를 더하게 되면서 '워록'은 새로운 느낌의 FPS 온라인 게임으로 탈바꿈했으며, 차별화된 재미를 선사할 수 있게 됐다고 힘주어 말했다.

"'워록'을 제작하는데 가장 중시했던 점은 대중성 있는 FPS 게임을 만들자는 것이었습니다. 여성들이나

나이 많은 사람들도 쉽게 즐길 수 있고 FPS 게임을 즐길 때 생기는 고질적인 '멀미 현상'도 최소화하기

위해서 노력했습니다. 그래서 그런지 모르지만 '워록' 클랜에는 나이 많은 분들도 상당히 많습니다.(웃음) 그래서 간담회를 열 때마다 저보다 나이가 많은 분들을 가끔 보기도 합니다"

어느 정도의 대중성에 성공해서 대규모의 클랜을 구축하는데 성공했다는 조이사. 개발팀 전체가 멀미 현상이 없어질 때까지 세부 데이터를 조절하는 과정을 통해서 지금의 '워록'이 완성됐다며 개발팀 전체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매우 노력했다고 힘주어 말했다. 이어 조이사는 '워록'에 대한 개발 과정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맵에 대한 설명을 하기 시작했다.

"많은 온라인 FPS 게임들이 작은 맵이나 대칭 형태의 맵을 제작하는데 저희는 그런 부분을 최대한 배제하고 게이머들이 시각, 게임성에 만족할 수 있는 맵이 제작되도록 최선을 다했습니다. 맵이란 건 사전 자료를 준비해 스케치를 하고 그 맵의 주요 포인트를 잡은 후 간단한 형태부터 테스트 하며 제작하게 됩니다. 테스트 맵의 제작이 끝나면 개발팀들이 직접 플레이하면서 자신들이 예측한 포인트가 게임에 올바르게 표현되는지, 부족한 점은 없는지 등등 다양한 점을 테스트하게 되죠. 그 후에 맵핑을 통해 지형의 모습을 표현하고 장애물이나 잔디, 나무 등 넣어 생동감 있게 표현합니다"

조이사는 개발 과정에서 테스트 부분이 가장 오래 걸린다며 테스트는 맵의 생동감과 밸런스를 올리는데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강조했다. 그리고 이렇게 제작된 맵들이 게이머들에게 큰 인기를 얻을 때 가장 큰 보람을 느낀다며, 게이머들이 만족할만한 맵을 제작하기 위해서 테스트 기간만 한 달여가 소요된다고 살짝 귀띔했다.

특히 '위록'에 대한 생각을 물어볼 때는 '워록'이 지금의 모습을 가지게 된 것도 자신과 개발팀이 가진 열정과 욕심 때문이라며, 아마 이 욕심을 조금만 줄여도 지금보다 업데이트가 빠를 것이라면서 웃었다.

이런 욕심은 맵에서만 나온 것이 아니라 등장하는 캐릭터의 애니메이션, 등장 장비 등에서도 볼 수 있다며 게이머들은 잘 느낄 수 없겠지만 지금 모션은 수정되고 있다며 캐릭터의 모션을 직접 보여주는 모습에서 게임에 대한 욕심과 열정을 엿볼 수 있었다.

"누구나 자신이 개발한 게임을 다른 게임과 비슷하게 또는 똑같게 만들고 싶지는 않을 겁니다. 그러나 온라인 게임을 제작하다보면 게이머들의 의견에 맞춰서 게임을 제작하기도 해야 하고 만족스럽지 않은 게임성을 높이기 위해서 많은 게임들을 참조하기도 해야 합니다. 그러나 게이머들 시각에서는 이 점은 큰 이슈로 보였나 봅니다. 그 점 때문에 한동안 마음고생이 심했죠"

다른 게임과 비슷하다는 점 때문에 오픈 초반에 마음 고생한 점에 대해서 이야기하면서 조이사의 표정은 잠시 어두워졌다. 그러나 이내 '워록'이 대형 게임과 비교가 되는 점 자체가 영광이라며 이 부분이 개발하는데 원동력으로 작용했음을 힘주어 말했다.


남편이 매일 저녁마다 술을 먹었는데 지금은 저녁마다 헤드셋을 끼고 '워록'을 즐기기 위해 일찍 귀가해서 좋다는 한 부부의 이야기를 듣고 오랜 기간 서비스를 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는 조이사. 그는 지금도 '워록'을 즐기고 있는 게이머들에게 이 말은 꼭 전하고 싶다며 말을 꺼냈다.

"게이머들의 관심과 사랑 때문에 하루하루 많은 걸 배워가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워록'은 게이머 분들의 의견에 최대한 귀 기울이는 그런 게임이 되기 위해서 노력할 것이고 게이머 한분, 한분이 각각 진정한 서비스를 받고 있다는 느낌이 들 수 있도록 노력하고 또 노력할 테니 '워록'에 대해서 많은 사랑 바랍니다"

조이사는 인터뷰 내내 편안하고 유익했다는 듯이 살며시 고개를 들며 아쉬움을 남겼다. 그가 앞으로 보여줄 '워록'의 새로운 에피소드 시리즈가 게이머들에게 더욱더 다가갈 수 있는 원동력이 될 수 있을지, 사뭇 기대가 된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