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이나드림]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中 모바일 게임시장, PC 온라인 시장 정복도 몇 년 안남았다
[차이나드림 1부: 지피지기면 백전백승. 중국 게임시장의 현주소]
3화. 폭발적으로 성장 중인 中 모바일 게임시장, PC 온라인 시장 정복도 몇 년 안남았다
[본지에서는 대형 기획 시리즈 '차이나드림'을 통해 세계 게임시장의 뜨거운 감자로 떠오른 중국 게임시장의 현주소와 현장의 생생한 목소리 그리고 성공적인 중국 게임시장 진출을 희망하는 이들을 위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번 기획이 정글과도 같은 중국 게임시장에 진출하려는 이들에게 길잡이가 되기를 바란다.]
전 세계의 게임시장이 모바일 게임의 성장으로 들썩이고 있는 가운데, 중국 시장도 이런 상황에서 예외가 될 수 없었다.
하지만 특유의 폐쇄성으로 구글의 진출이 막혀있는 중국은 그 어떤 시장 보다도 모바일 게임 시장의 분석이 어려운 시장으로 정평이 나 있는 상황이다.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은 한국의 T스토어와 같은 자체 마켓이 수백 개에 이르는 통에 시장에 대한 데이터 수집이 힘들고, 또 큰 자체 마켓들은 저마다 독자적인 수치를 제공함으로써 시장에 대한 규모를 짐작키 어렵게 하고 있다. 각각의 마켓들이 전체 시장 점유율을 자사의 의도에 맞게 부풀려 말하기도 하고 또 각 리서치 회사들 마다 조사기준이 달라 수치가 상이한 점도 이러한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요소다.
그나마 시장 규모와 관련하여 가장 신빙성 있는 데이터는 GPC IDC and CNG(중국 음향 디지털 출판협회)에서 내놓은 자료가 아닐까 싶다. 때문에 이번 기사에서는 이곳의 자료와 몇몇 리서치 회사의 자료를 혼합해가며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을 분석해보도록 하겠다.
GPC IDC and CNG가 발표한 2014년 중국 게임산업 보고서에 따르면 2014년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 매출 규모는 작년 대비 144.6% 성장한 274.9억 위안(한화 약 5조 96억 : 환율 182.17 기준)을 기록했다.
애플과 삼성에 이어 샤오미 등의 중국 브랜드 스마트폰들이 저가 공세로 밀어붙이면서 모바일 게임의 잠재 수요자도 폭발적으로 늘어났으며, 이로 인해 전체 게임자 수 역시 2013년에 3억1천만 명에서 2014년에 3억5천7백만 명으로 늘어났다. 2012년에 고작 8천9백만 명이었던 것을 감안하면 불과 2년 만에 게임자 수가 2억6천8백만 명이 늘어난 것이다. 이는 실로 어마어마한 수가 아닐 수 없으며, 2015년에는 5억 명으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4G 서비스 가입자 역시 폭발적인 증가세에 놓여 있는데, 중국 공신부(工信部)는 2015년 내에 4G 가입자의 수가 4억 명을 돌파할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앞서 세계적인 추세를 언급했지만, 중국의 모바일 게임 시장 역시 향후 몇 년간은 폭발적인 성장이 예정되어 있다. 피처폰에서 스마트폰으로 갈아타는 유인 인구의 수가 꾸준히 늘어날 것으로 예측되면서 모수가 풍부할 것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중국의 순수 스마트폰 사용자는 2012년부터 2014년까지 무려 12억 7천만 명으로 급증한 바 있다.
때문에 성장률을 제외한 모든 수치는 증가 추세일 수 밖에 없다. (성장률은 2012년에서 2013년에 오는 동안 이미 246.9%라는 경이적인 수치를 보였다.)
또 2014년을 기준으로 중국 모바일 게임은 144.6%의 성장세를 기록하면서 온라인 게임과 웹게임의 성장세를 넘어섰으며, 시장 규모 자체도 274.9억 위안으로 202.7억 위안을 기록한 웹게임을 넘어섰고 608.9억 위안을 기록한 PC 온라인 게임 시장의 절반을 살짝 못 미치는 정도까지 쫓아왔다.
전체 게임 시장 매출 점유율에서는 2013년 13.5%에서 2014년 24%로 56.25% 상승했으며, 지난해와 비슷한 145% 정도의 성장률로 가정해보면 올해(2015년)는 400억 위안(한화 약 7조2868억 원) 이상이 될 것으로 예측된다.
이는 2014년 중국 PC 온라인 게임 시장이 608억 위안인 것과 비교해볼때 모바일 게임 시장이 얼마나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는지, 또 얼마나 점유율을 가파르게 높이고 있는지를 단적으로 알려준다.
이러한 추세에 의해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이 아직까지는 PC 온라인 게임에 비해 작지만 몇 년 뒤에는 PC 온라인 게임의 시장 규모 자체를 앞지를 것이라는 전망이 무게를 얻고 있다.
게임의 비율과 관련해서도 GPC IDC and CNG의 자료에 따르면 모바일 싱글 게임과 네트워크 게임의 비율은 싱글 게임이 22%, 온라인 게임이 78%를 차지해 네트워크를 필요로 하는 게임이 압도적으로 많았다. 이는 게임 수의 비교는 아니며, 실제 매출에 따라 계산한 점유율이다. 즉, 네트워크를 활용한 게임이 4배 가까이 매출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마켓은 바이두와 텐센트, 360이 가장 큰 오픈마켓으로 꼽히고 있으며, 이들은 각 마켓 별로 심사 기준이 다르고 로그인 방식, 결제 부분이 상이한 상황이다. 그외에 중국 3대 통신사 마켓인 차이나 모바일, 차이나 텔레콤, 차이나 유니콤이 큰 시장을 형성하고 있으며, 샤오미와 같은 휴대폰 제조사의 자체 마켓도 무시할 수 없는 수준으로 확장되고 있다. 이들 외에도 스네일과 같은 자체 마켓이 수백 개에 이르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런칭 호환성을 염두에 둘 필요가 있다.
또 한유에서 제공한 자료에 따르면 중국에는 약 1천여 종의 모바일 기기가 존재하며, 삼성과 LG 단말기만 지원할 경우 10% 수준 밖에 커버리지가 되지 않아 게임의 실패 확률이 매우 높아진다고 한다. 실제로 중국 현지 테스트 전문 기업 사례에서 1천832개의 게임을 테스트하는 동안 총 5만 여 건의 폰 호환성 문제에 봉착했다는 발표가 있을 정도이다.
이는 중국 시장을 개척하려고 할때 애플(IOS) 진영을 확고히 해서 가져간 뒤 안드로이드의 폰 호환성을 대폭 상승시켜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런 부분이 해외 업체가 중국 시장에 진출하기 어려운 가장 큰 문제로 꼽히는 부분이다.
또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은 수많은 게임들이 매일 수백개 씩 나오고 사라지는 등 양산화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 아예 '도탑전기'와 같은 횡스크롤 게임의 경우 툴화되어 쉽게 구할 수 있는 상황이기도 하다.
이처럼 양산화 과정 속에서 마케팅 적으로 큰 효과를 낼 수 있는 지적재산권(IP)이 엄청나게 중요한 시장이 되어가고 있다는 것도 주요 체크해야할 부분이다. 실제로 마켓 순위를 보면 애플 진영(IOS)를 기준으로 상위권은 '킹오브더 파이터즈' '뮤온라인' 등 IP를 활용한 게임들이 차지하고 있으며, 이같은 추세는 향후에도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측된다.
때문에 텐센트와 같은 큰 회사들은 글로벌 지적재산권을 가진 회사들을 컨택해 IP를 사들이고 있으며, IP는 웹 소설, 드라마, 애니메이션, 만화 등 다양한 분야를 가리지 않고 모바일 게임 쪽으로 흡수되고 있는 상황이다.
마지막으로 중국 모바일 게임 시장에서 한국 모바일 게임의 입지는 대폭 줄어들고 있다. 2년 전만해도 중국 게임회사에서 한국 모바일 게임을 구입하고자 하는 문의가 쇄도했지만, 지난해에 기상변화가 감지되더니 이제는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닌 상황이다.
한국 게임사들의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도 부족, 앞서 언급했던 복잡한 중국의 빌링 구조, 그리고 의사소통의 부재, 부족한 현지화 등이 한국 게임을 찾지 않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여기에 최근에는 중국 게임사들의 개발 실력이 한국 개발사 못지않을 만큼 발전한 것도 한국 게임을 시큰둥하게 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중국은 개발자의 수를 대폭 늘려 콘텐츠의 양을 확충하고 있고, 서버 구현 능력 및 BM 설계 등은 이미 한국 개발사들을 뛰어넘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때문에 한국 게임사들의 중국 진출은 과거보다 굉장히 난이도가 높아졌다고 할 수 있으며, 철저한 사전 준비와 함께 중국 시장에 대한 이해, 또 커뮤니케이션 능력을 키우지 않으면 성공하기 어려운 시장으로 변모했다고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