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픽셀의 김민수 실장 “IP 파워 집중하는 새로운 메타버스 만들 것”

오늘(23일) 판교 경기창조혁신센터에서 개최된 ‘대한민국 NFT/블록체인 컨퍼런스’에서는 메타버스의 개념과 엔픽셀의 메타픽셀에 대해 소개하는 강연이 진행됐다.

메타버스 게임과 NFT/P&E의 연결 강연을 맡은 엔픽셀의 김민수 메타본부 실장은 IP(지식재산권)의 파워는 콘텐츠를 현실세계를 뚫고 나올 정도의 파워를 지니고 있으며, 이 파워가 모인 것이 바로 메타버스라고 설명했다.

엔픽셀  김민수 메타본부 실장
엔픽셀 김민수 메타본부 실장

아울러 초기 스마트폰은 기존 피처폰에 카메라를 붙인 형태에 불과했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다양한 기능이 통합되기 시작한 것과 마찬가지로 지금의 메타버스는 초기에 불과하며, 현재 메타버스의 가능성을 선보인 로블록스의 경우 로블록스는 게임사가 게임을 만들지 않고, 이용자가 게임을 만들고 다른 이용자가 즐기는 탈 중앙화가 운영 중인 작품이라고 설명했다.

김민수 실장은 메타버스의 핵심 키워드는 바로 경제로, 디지털 세계를 구축하는 공간, 아바타, 소셜과 이용자 간의 상호 요소인 경제를 기반으로 콘텐츠, 문화 어우러져 거대한 생태계를 구축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로블록스의 사례에서 보듯 메타버스의 생태계 구축에는 탈 중앙화가 필요하며, ‘짜파게티’ 라면과 ‘너구리’를 합친 ‘짜파구리’를 누구도 홍보하지 않았고 크리에이터들이 이를 홍보하고 구독자들에게 수익을 얻었듯 서로 간의 영역이 점차 분리되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컨퍼런스
블록체인 컨퍼런스

블록체인 게임에 대한 재미있는 예시도 곁들였다. 김민수 실장은 감자 밭을 사면 감자를 무료로 캘 수 있지만, 호미는 집주인(게임사)이 판매할 수 있고, 이 감자를 새로운 농부에세 판매할 수 있는 게임인 ‘파밍 투 언’이라는 가상의 게임 속에서 코인을 ‘호미’, 감자를 ‘토큰’, ‘감자 밭’을 게임 콘텐츠로 비유했다.

이 게임의 경우 꾸준히 새로운 농부가 유입되면 감자 가격이 오르지만, 유입이 끊긴다면 감자 가격이 폭락하는 단점이 있으며, 농부의 목적이 단순히 감자를 캐고 파는 것에 그쳤을 때의 모델 즉 ‘플레이 투 언’(P2E)은 한계가 있다고 설명했다.

블록체인 컨퍼런스
블록체인 컨퍼런스

다만 이 요소에 감자를 캐는 대회가 열리고, 우승한 사람만 감자를 가지고 갈 수 있으며, 이 과정을 유튜브로 올린 이들에게 감자를 제공하는 게임 즉 ‘플레이 앤 언’은 재미를 위해 게임을 즐기고 이에 따라 수익이 따라오는 재미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김민수 실장은 이러한 개념을 종합하여 엔픽셀의 IP 서비스들이 모여 거대한 세계인 메타픽셀을 설계하는 중이라고 강조했다. 이 메타픽셀은 엔픽셀이 만드는 AAA 게임을 다양한 IP로 개발할 수 있고, 이 모든 요소는 탈중앙화 조직에 의해 운영된다.

아울러 김민수 실장은 ‘그랑사가’, ‘크로노 오디세이’ 등 다양한 게임을 통해 이를 실체화할 예정이며, 앞으로도 이를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게임동아의 모든 콘텐츠(기사)는 Creative commons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의견은 IT동아(게임동아) 페이스북에서 덧글 또는 메신저로 남겨주세요.